본문 바로가기

전기119

전력 케이블 배열 방식 | 삼각배열, 요람배열, 수평배열 서론전력 케이블 배열 방식은 송전 효율과 시스템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배열 방식은 케이블의 배치 방법에 따라 전자기 간섭, 열 관리, 유지 보수의 용이성 등에 차이를 발생시킵니다. 이 문서에서는 전력 케이블의 삼각배열, 요람배열, 수평배열 방식을 각각의 특징과 함께 설명하고, 이들 방식이 전력 송전 시스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논의합니다. 전력 케이블 배열 방식삼각배열삼각배열은 단심 케이블을 정삼각형 모양으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전력구 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 배열 방식은 케이블 간의 자속 간섭을 최소화하여 시스에 유기되는 전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삼각형 형태로 배열된 케이블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력구의 제한된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2024. 7. 28.
케이블 포설 | 직매식, 관로식, 전력구식 트로프(Grough) 케이블 포설케이블 포설은 지중송전선로 설치 시 사용되는 방법으로, 주요 방식에는 직매식, 관로식, 전력구식, 덕트식이 있습니다. 포설 방식은 장래의 계통구성, 송전용량, 경과지, 케이블 종류, 시공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차량 등의 중량물이 압력을 받는 장소에서는 케이블의 매설 깊이가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0.6m 이상이어야 합니다. 직매식 포설직매식 포설은 케이블을 트로프(Trough) 내에 설치하여 보호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케이블 2회선 이하의 발변전소, 케이블 헤드 부지, 수용가 구내 등에서 사용되며, 장래 선로 증설의 전망이 없을 때 적합합니다.  관로식 포설관로식 포설에서는 관로 내에 케이블을 설치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중송전 케이블은 .. 2024. 7. 28.
지중토목설비 | 관로, 전력구, 전력구, 덕트, 맨홀, 핸드홀, 관로구, 트러프 지중토목설비개요지중토목설비는 송전 및 배전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장래의 계통구성, 송전용량, 경과지, 케이블 종류, 시공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주요 유형에는 직매식, 관로식, 전력구식, 터널식, 덕트식이 있으며, 각 방식은 설치 장소와 사용 조건에 따라 선택됩니다. 케이블 매설 깊이는 차량 등의 중량물이 압력을 받는 장소에서는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0.6m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관로관로식 부설은 미리 설치된 관로와 맨홀을 통해 케이블을 설치하고, 맨홀 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사용되는 관의 종류에는 PE 파형관, PVC 직관, 강관, 흄관 등이 있으며, 우리 회사는 주로 PE 파형관과 PVC 직관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직매식에 비해 케이블 증설 및 교체가 용이하고.. 2024. 7. 28.
건식케이블 | XLPE과 광복합 케이블 내부반도전층, 절연체, 외부반도전층, 금속시스 건식케이블 XLPE 케이블XLPE 케이블은 가교 폴리에틸렌을 절연체로 사용하여 600V에서 500㎸까지의 넓은 전압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이 케이블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절연내력과 체적저항률이 높으며, 유전체역률(tanδ) 및 유전률이 매우 작습니다.내열성과 내노화성이 우수하여 연속최고 허용온도 90℃까지 사용할 수 있어 송전용량을 크게 할 수 있습니다.OF 케이블에 비해 급유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절연유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이 없습니다.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체, 외부반도전층, 금속시스, 방식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 회사는 이러한 우수한 특성 때문에 XLPE 케이블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단점도 존재합니다:.. 2024. 7. 28.
항공장애표지과 비행안전구역 서론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은 항공기뿐만 아니라 지상 시설물의 관리와 유지에 달려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항공장애표지와 비행안전구역의 개념, 종류,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표지와 구역은 항공기의 이착륙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공항 주변의 안전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항공장애표지항공장애표지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물의 존재를 알리는 표지입니다. 국토해양부령에 의해 진입표면, 수평표면, 원추표면 또는 전이표면에 근접한 구조물로서 지방항공청장이 항공기의 항행 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는 구조물 및 지표, 수면에서 60m 이상 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됩니다. 항공장애등은 저광도, 중광도, 고광도 등으로 구분되며, 주간장애 표지는 .. 2024. 7. 28.
역섬락 (Back flashover) 역섬락 (Back flashover)역섬락은 가공지선이 낙뢰를 차폐함에도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형태는 철탑 또는 가공지선에 낙뢰가 직격할 때 발생하며, 이 경우 철탑의 전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철탑에서 전력선으로 섬락이 일어나는 것입니다.두 번째 형태는 가공지선에 낙뢰가 직격할 때 뇌격전류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송전선의 경간에서 가공지선으로부터 전력선으로 섬락이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철탑 역섬락 전류철탑 역섬락 전류는 아래와 같은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L =  (V − E) / ( (K − C)․Zr )여기서,V: 아킹혼(50%) 임펄스섬락전압(kV)E: 교류대지전압파고치(kV), 최대치× 2 / 3Zr: 철탑정부 전위상승.. 2024.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