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은 항공기뿐만 아니라 지상 시설물의 관리와 유지에 달려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항공장애표지와 비행안전구역의 개념, 종류,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표지와 구역은 항공기의 이착륙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공항 주변의 안전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항공장애표지
항공장애표지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물의 존재를 알리는 표지입니다. 국토해양부령에 의해 진입표면, 수평표면, 원추표면 또는 전이표면에 근접한 구조물로서 지방항공청장이 항공기의 항행 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는 구조물 및 지표, 수면에서 60m 이상 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됩니다. 항공장애등은 저광도, 중광도, 고광도 등으로 구분되며, 주간장애 표지는 항공장애표시구와 철탑도색이 있습니다.
비행안전구역
비행안전구역은 전술항공작전기지 주변의 항공기 안전을 위해 설정된 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제1구역부터 제6구역까지 나뉘며, 각각의 기준과 역할이 다릅니다.
제1구역 (장애제거구역)
제1구역은 활주로 양끝에서 61m의 거리와 활주로 중심선 양쪽으로 각각 300m의 거리를 가진 직사각형 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항공기 이착륙 시 장애물을 제거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제2구역 (접근경사표면)
제2구역은 기본표면 양끝의 짧은 변 바깥쪽에서 접근한 구역으로, 활주로 중심선의 연장선에서 양쪽으로 각각 1,219.25m 떨어진 지점까지 이어지는 사다리꼴 형의 구역입니다.
제3구역 (접근수평표면)
제3구역은 제2구역의 긴 변 바깥쪽에 위치한 구역으로, 활주로 중심선의 연장선에서 양쪽으로 각각 2,438.5m 떨어진 지점까지 이어지는 사다리꼴 형의 구역입니다.
제4구역 (전이표면)
제4구역은 기본표면의 긴 변을 짧은 변으로 하여, 활주로 중심선 양끝지점을 중심으로 한 반경 2,286미터의 원이 제2구역 바깥쪽 변과 만나는 점을 연결한 사다리꼴 형의 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7분의 1의 경사도를 이루며, 외곽으로 향하는 상승 경사가 있습니다.
제5구역 (내부수평면)
제5구역은 활주로 중심선 양끝지점을 중심으로 한 반경 2,286m의 원과 제1구역의 짧은 변 연장선 교차점까지 연결된 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기본표면의 중심선의 높이 중 가장 높은 점을 기준으로 수직 상방으로 45m 높이의 수평 면을 포함합니다.
제6구역 (원추표면)
제6구역은 제5구역의 바깥쪽 변으로부터 2,134m의 폭을 가지며, 제2구역 바깥쪽 변까지 이어집니다. 이 구역은 제5구역 외곽선으로부터 바깥쪽 상부로 향하는 20분의 1의 경사도를 이룹니다.
결론
항공장애표지와 비행안전구역은 항공기 운항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들은 지상과 공중의 구조물 사이의 충돌 위험을 줄이고, 항공기 이착륙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의 적절한 유지와 관리가 필요하며, 관련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토목설비 | 관로, 전력구, 전력구, 덕트, 맨홀, 핸드홀, 관로구, 트러프 (0) | 2024.07.28 |
---|---|
건식케이블 | XLPE과 광복합 케이블 내부반도전층, 절연체, 외부반도전층, 금속시스 (0) | 2024.07.28 |
역섬락 (Back flashover) (0) | 2024.07.28 |
오프셋 (Off-set) | 가공송전선로의 오프셋 (0) | 2024.07.28 |
전선도약 (Sleet Jump)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