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역섬락 (Back flashover)

역섬락 (Back flashover)

역섬락은 가공지선이 낙뢰를 차폐함에도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형태는 철탑 또는 가공지선에 낙뢰가 직격할 때 발생하며, 이 경우 철탑의 전위가 급격히 상승하여 철탑에서 전력선으로 섬락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두 번째 형태는 가공지선에 낙뢰가 직격할 때 뇌격전류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송전선의 경간에서 가공지선으로부터 전력선으로 섬락이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철탑 역섬락 전류

철탑 역섬락 전류는 아래와 같은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L =  (V − E) / ( (K − C)․Zr )

여기서,

  • V: 아킹혼(50%) 임펄스섬락전압(kV)
  • E: 교류대지전압파고치(kV), 최대치× 2 / 3
  • Zr: 철탑정부 전위상승을 임피던스로 표시한 값(Ω)
  • C: 결합률(0.3)
  • K: 상단암 철탑내 전위상승률(0.8)

이 공식을 통해 철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섬락 전류를 계산하여 필요한 보호 조치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가공지선 역섬락 전류

가공지선 역섬락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 = V / [(1- C‘ ) Z ] (kA)
 

여기서,

  • V: 경간내 가공지선과 전력선간 서지 섬락전압(kV)
  • Z: 경간내 전위상승을 고려한 등가 서지임피던스(Ω)
  • L: 가공지선부터 본선에의 유도계수

이 계산을 통해 송전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섬락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역섬락은 송전선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철탑과 가공지선에 대한 적절한 보호 조치를 통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정확한 전류 계산과 보호장치의 설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