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토목설비
개요
지중토목설비는 송전 및 배전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장래의 계통구성, 송전용량, 경과지, 케이블 종류, 시공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주요 유형에는 직매식, 관로식, 전력구식, 터널식, 덕트식이 있으며, 각 방식은 설치 장소와 사용 조건에 따라 선택됩니다. 케이블 매설 깊이는 차량 등의 중량물이 압력을 받는 장소에서는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0.6m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관로
관로식 부설은 미리 설치된 관로와 맨홀을 통해 케이블을 설치하고, 맨홀 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사용되는 관의 종류에는 PE 파형관, PVC 직관, 강관, 흄관 등이 있으며, 우리 회사는 주로 PE 파형관과 PVC 직관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직매식에 비해 케이블 증설 및 교체가 용이하고, 전력구식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4회선 이하 규모에 적용됩니다.
전력구
전력구는 동일 경과지에 4회선 이상의 다회선 케이블 및 부속재를 수용하기 위해 지하에 콘크리트 박스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지반을 굴착하여 설치하는 개착식과 비개착 공법인 터널식으로 구분됩니다. 이 방식은 동일 경과지내에 관로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회선 수를 초과한 경우 또는 도심지의 극심한 교통난으로 관로 시공이 불가능할 경우에 적용되며, 설비 운영에는 유리하지만 건설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덕트
덕트 방식은 덕트를 설치하고 케이블을 부설한 후 덮개를 덮는 방식으로, 발변전소 구내, 케이블 헤드 부지, 수용가 구내 등에서 중량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덕트의 덮개로는 보통 무늬강판(check plate)이 사용됩니다.
맨홀
맨홀은 관로식에서 케이블의 인입, 인출, 점검, 보수 작업 등을 위해 설치된 구조물입니다. 송전용은 2개 이상의 뚜껑을 설치하며, 설치 위치는 케이블의 허용장력 및 허용측압, 현장 시공 여건, 케이블의 신축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핸드홀(Handhole)
핸드홀은 케이블의 부설 및 접속 작업을 위한 시설물로, 맨홀과 비슷한 기능을 하며 직매식에 주로 사용됩니다. 맨홀보다 규모가 작고, 주로 콘크리트 또는 벽돌로 시공됩니다.
관로구
관로구는 관로와 맨홀 또는 전력구 등이 만나는 지점으로, 케이블의 인입 및 배열에 적절히 배열되어야 합니다. 관로구에서의 관 배열은 케이블의 접속부 배치에 따라 2열 배열이 이상적이며, 관로 공수가 많은 경우 일반적으로 4열 이하로 합니다.
트러프(Trough)
트러프는 발변전소 구내, 케이블 헤드 부지, 수용가 구내 등에서 중량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에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철근콘크리트나 FRP 재질로 제작되며, 케이블의 부설 작업과 곡선 구간에서의 케이블 처리를 위해 유효폭은 케이블 외경의 1.4배 이상으로 유지됩니다.
결론
지중토목설비는 송전 및 배전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됩니다. 각 방식은 설치 환경과 조건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며, 비용 효율성, 유지 보수 용이성, 설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선택됩니다. 이러한 설비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 케이블 배열 방식 | 삼각배열, 요람배열, 수평배열 (0) | 2024.07.28 |
---|---|
케이블 포설 | 직매식, 관로식, 전력구식 트로프(Grough) (0) | 2024.07.28 |
건식케이블 | XLPE과 광복합 케이블 내부반도전층, 절연체, 외부반도전층, 금속시스 (0) | 2024.07.28 |
항공장애표지과 비행안전구역 (0) | 2024.07.28 |
역섬락 (Back flashover)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