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전기차 구매 보조금 받는 방법과 신청절차 (GV60 EV6 아이오닉5 Model 3 봉고3, 포터2 등) 국비 보조금

전기차 구매 보조금 받는 방법

전기차 구매 보조금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를 구매하게 되면 해마다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이 남아 있는동안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관련 법규에 준해서 차량별로 국비와 지자체 보조금이 다릅니다. 지자체별 지방비 보조금도 지차제마다 다르기도 합니다. 전기차 보조금 받는 방법과 대표차종인 GV60, EV6, 아이오닉6, Model 3, 봉고3, 포터2 등 전기차에 대하여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이미지
전기차 이미지

 

일단 해당 보조금 지급 대상 차량여부는 "전기자동차 보금대상 평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전기차 평가항목과 기준에 적합한 차종에 한해서 지급됩니다. 현재 차종별로 지급 대상인지 여부는 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ev.or.kr/portal/buyersGuide/incenTive

 

국비 보조금 기준으로 몇대만 살펴보면 G80 (E): 337만원, GV60 스탠다드 2WD 19인치 : 340만원, 아이오닉5 2WD  스탠다드 19인치 678만원, EV6 스탠다드 2WD 19인치 : 680만원, BMW iX3  M Sport 293만원, MINI cooper SE : 557만원, 한국지엠 볼트 EV 640만원, 테슬라  Model 3 Performance 260만원, Model Y RWD : 260만원, 벤츠 EQA 250(MY22-1) 268만원, EQB300 4MATIC(5인승) 275만원, 폴스타 SC40 Recharge twin 203만원, 폭스바겐 아우니 Q4 Sportback e-tron 40 253만원입니다. 초소형차로는 대창모터스의 DANIGO 350만원, 마이브 M1 350만원, 쎄보모빌리티 CEVO-C SE 350만원입니다.전기화물차로는 기아 봉고 3 1,200만원, 현대 포터2 일렉트릭 1,200만원입니다. 

여기에 지자체 보조금까지 받아서 구매 보조금을 줄일수 있습니다. 또한 개별소비세, 교육세, 취득세 할인 효과까지 더해져서 보통 동급의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가격에 구입을 할수 있습니다.

 

전기차 구매보조금
전기차 구매보조금
전기차 세제지원
전기차 세제지원

 

전기차 보조금 신청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 신청 절차

전기차 보급사업 공고 (지방자치단체) → 전기자 구매 계약(구매자:제조사, 수입사) → 전기차 구매지원신청서 접수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대상자 선정통보 (지자체) → 차량출고 및 등록 (보통 2개월 이내) → 구매보조금 시청섭수(출고후 10일이내) → 보조금 지급 (지방자치단체→제조사,수입사)

 

전기차보조금 신청, 수령 절차
전기차보조금 신청, 수령 절차

 

전기차 구매대상자는 차량 구매대금과 보조금의 차이만큼 제조사 또는 수입사에 납부하면 됩니다. 제조사 또는 수입사는 지자체로부터 국비보조금 및 지자체 보조금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이 직접 지자체나 정부기관에 보조금 신청을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지자체 별로 예산이 소진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국비보조금이 남아있어도 지자체 보조금이 소진되면 전기차보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지차제 보조금은 전기차의 경우 서울 180마원, 부산 300만원, 대구 350만원, 인천 350만원, 광주 390만원, 대전 350만원, 울산 340만원 세종 400만원, 경기도 300~500만원, 강원도 360만원, 충북 680만원, 충남 700만원, 전북 700만원, 전남 620~850만원, 경북 600~1,100만원, 경남 600~1,150만원, 제주 400만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