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수요관리는 전기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공급 측의 전력 관리와는 달리, 수요관리는 소비자의 전기 사용 패턴을 변화시켜 최적의 전력 공급을 도모합니다.
수요관리 정의 및 배경
수요관리란?
수요관리는 소비자의 전기 사용 패턴을 조정하여 전력 수요를 최소 비용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모든 활동을 포함합니다. 이는 공급 측 관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1980년대 초 경제성장으로 인해 발전설비 투자비용이 증가하면서 도입되었습니다.
역사적 배경
수요관리는 미국에서 1973년 아랍 산유국의 석유 금수조치로 인한 오일 파동을 계기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이후 에너지 자원 절약과 원가 절감을 위한 수단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친환경 에너지 정책의 대안으로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수요관리의 이점
한전의 이점
전력 공급 안정성과 설비 이용률 향상, 설비 투자 억제 등은 수요관리가 한전에 제공하는 주요 이점입니다.
사회적 이점
에너지 자원 절약과 지구 환경 보전은 수요관리가 사회에 기여하는 주요 이점입니다.
고객의 이점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과 비용 절감은 고객이 수요관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혜택입니다.
수요관리 기법 및 유형
부하관리 (Load Management)
부하관리는 최대 수요와 최저 수요의 차이를 줄여 부하를 평준화하고 공급 설비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최대수요 억제, 최대수요 이전, 기저부하 증대가 있습니다.
효율향상 (Energy Efficiency)
효율향상은 고효율 기기 보급과 절전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전기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고효율 기기의 예로는 LED 조명, 인버터, 전동기 등이 있습니다.
최대수요 억제 (Peak Clipping)
최대수요 억제는 계절별, 시차별로 최대 수요를 낮추어 부하 평준화를 도모합니다. 긴급 절전, 건물 냉난방 원격 관리, 최대 전력 관리 장치 보급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최대수요 이전 (Peak Shifting)
최대수요 이전은 피크 시간대의 전력 수요를 경부하 시간대로 이전하여 최대 수요는 줄이고 최저 수요는 올리는 기법입니다. 심야전력 이용, 축열식 냉난방 설비, ESS식 냉난방 설비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기저부하 증대 (Valley Filling)
기저부하 증대는 경부하 시간대의 수요를 증대시켜 설비 이용률을 높이고 판매 전력량을 증가시키는 기법입니다.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식 난방기기가 이 유형에 해당합니다.
에너지 효율 향상 (Energy Efficiency)
에너지 효율 향상은 전기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효율 기기 보급 및 절전 정보 제공 등을 포함합니다. 이로 인해 전기를 절약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합니다.
결론
수요관리는 전력 소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에너지 자원을 절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고,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부하관리와 효율향상 기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최대 수요를 조절하고, 기저부하를 증대시키며,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력 시스템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관리는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한 전략적 접근 방식으로, 미래의 에너지 수요와 공급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이란 신청방법 신청대상 신청기간 (0) | 2024.08.18 |
---|---|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사업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1) | 2024.08.16 |
변압기 제어장치와 보호장치 (0) | 2024.08.08 |
변압기 조상설비 | 전압조정 (0) | 2024.08.07 |
변전소 개폐장치 | 차단기, 단로기, 가스절연 개폐장치 (GIS) (0) | 202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