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전기차 화재 아파트 지하주차장 안전한가?

전기차 화재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대형 사고 발생

전기차 배터리에 불이 붙자, 200명에 가까운 소방관이 출동해도 다 타버릴 때까지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인천 서구 청라동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인해 수십 대의 차량이 전소됐고, 전기와 배관 시설까지 손상되었다. 초고온의 열폭주로 인해 아파트 구조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되면서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맞아 전국의 아파트 주민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

전기차 화재

 

화재 발생 및 피해 상황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에 위치한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여 차량 40대가 전소되고, 100여 대가 손상되었다. 주민 22명이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며, 인근 아파트 5개 동의 전원이 차단되어 122명이 임시주거 시설로 대피하는 혼란이 발생했다.

 

화재 원인과 현장 상황

당시 현장 CCTV 영상에 따르면,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벤츠 전기차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더니 갑자기 폭발과 함께 불길이 치솟았다. 불은 8시간 20분 동안 지속되었고, 소화기나 물로 진압할 수 없는 배터리 화재로 인해 모든 것이 다 타버릴 때까지 불길을 잡지 못했다. 그 사이 아파트 지하주차장은 완전히 초토화되었다.

불안과 논란의 확산

화재 이후, 자동차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전기차를 어떻게 사겠냐"거나 "전기차는 반드시 지상에 주차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쏟아지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와 지하주차장: 화재 위험 요소

전문가들은 리튬이온배터리의 특성, 폐쇄적인 지하주차장의 구조, 낮은 층고 등 여러 요소가 결합해 화재의 위험을 증가시켰다고 분석한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로 인한 가스 발생이 문제인데, 온도가 1,000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탄화수소 계열의 가연성 가스와 유해가스를 방출하며, 이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 지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전기차 화재 진압의 어려움

전기차의 화염은 '위'로 향하는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옆'으로 터지기 때문에 주변 피해가 크다.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방출되는 압력과 가스로 인해 폭발이 수평으로 퍼지며, 연쇄적인 열폭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전기차 화재는 이동식 수조 설비가 필요한데, 지하주차장에서는 대형 장비를 들여오기가 어렵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전기차 화재 진압에는 컨테이너 수조가 달린 소방차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지하주차장은 유독가스 배출이 어렵고 소방차 진입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충전기 지상 설치 권고의 한계

소방당국은 전기차 충전시설을 지상에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강제사항이 아니며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어진 공동주택 대부분이 지상주차장이 없는 상황이라 실효성이 떨어진다.

올해부터 전기차 충전기 의무 설치 대상 공동주택 기준이 500세대 이상에서 100세대 이상으로 확대되었고, 의무 설치 비율도 상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