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격자도 (Lattice diagram)

격자도 (Lattice diagram)

개요

격자도는 불연속점(접속점)에서 서지의 투과 및 반사량을 계산하는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모든 파형 요소는 불연속점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그려지며, 특정 시간과 위치에서의 합계는 그 순간 그 위치에 도달한 모든 파형들의 합계로 나타납니다.

반사 및 투과계수

격자도에서, 왼쪽에서 도달한 파형의 반사계수와 투과계수를 β와 γ, 오른쪽에서 도달한 파형의 반사계수와 투과계수를 β'와 γ'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서지가 각 불연속점에서 어떻게 반사되고 투과되는지를 설명합니다.

격자도

 

불연속점을 2회 왕복한 경우의 격자도는 시간 축에서 L로 표시된 불연속점 간의 거리와, v로 표시된 파의 진행속도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격자도를 이용해 파형 분석을 수행했으나, 현재는 EMTP(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와 같은 계산 도구를 통해 보다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격자도는 전산 프로그램의 해를 검증하는 용도로 여전히 유용합니다.

 

결론

격자도는 전력 시스템의 서지 분석에 중요한 도구로, 반사와 투과 현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전력 시스템 설계와 보호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현대의 전산 도구와 결합하여 더욱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